언론보도

HOME > 언론보도

시공능력 100위 내 건설사 중 ‘부실 징후’ 15곳으로 늘 전망

본문

조계완 기자2025. 4. 11. 13:35


b75a3b03fe01b84ac5a1a4027a04bf2b_1744696034_3003.png
 

영업 적자, 부채 과중, 순차입금 과중, 매출채권 과중 등 건설회사 부실지표 4개 중에서 2개 이상을 충족하는부실 징후건설사가 2022 3, 2024 11개에서 올해 15개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부실 징후 건설사는 대부분 시공능력순위 31~100위권 업체로 파악된다.

11일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시공능력순위 100위권 이내 건설사를 대상으로 부실 징후를 검토(1~30위권과 31~100위권을 구분해 2025년 재무지표 추정)한 결과, 부동산시장 양극화 등에 따라 지방 건설사를 중심으로 부실 징후 건설사가 2022 3, 2024 11개에서 2025 15개로 증가할 전망이다. 보고서는 특히 31~100위권 건설사의 경우 지방 지역에 대한 매출채권 부담 등 재무위험 노출도가 더욱 클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나신평은 건설업의 재무적 특징과 부실 건설사들의 사례를 고려해 4가지 부실징후 벤치마크(영업수익성 0% 미만, 부채비율 400% 초과, 순차입금의존도 40% 초과, 총자산 대비 매출채권 비중 30% 초과 및 매출액 대비 매출채권 비중 35% 초과) 지표를 산정해 진단했다. 2023년 이후 부실이 발생한 10개 건설사 중 9개 건설사가 2개 이상의 벤치마크에 해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신평은벤치마크 지표 2개 이상을 충족하는 부실 징후 건설사는 대부분 31~100위권으로 구성돼 있고, 올해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 부실 징후 건설사 4개도 31~100위권에서 발생했다부동산 양극화 상황이 지속되면 상대적으로 사업 기반이 약하고 재무여력이 미흡한 중견 건설사를 중심으로 부실 우려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b75a3b03fe01b84ac5a1a4027a04bf2b_1744696051_1637.png

 

지난 2022년 이후 부동산 양극화 상황에 따라, 지방 건설사를 중심으로 부실 사례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2년 이후 부도처리(당좌거래 정지 기준)된 종합건설사 26개 중 25개가 지방 소재 종합건설사에서 발생했다. 올해 들어 신동아건설(58), 삼부토건(71) 100위권 내의 중견 건설사들도 법정관리를 신청하고 있는 등 부동산 양극화 상황에 따른 현금유동성 위험이 건설업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주요 건설사들은 2021년 이후 영업수익성 저하와 미수채권 증가에 따른 운전자금 부담으로 현금유동성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현재 분양률 70% 미만 사업장의 매출채권 규모는 27천억원을 웃돌고, 이 중에 지방 지역 매출채권 비중이 73.6%에 달한다. 나신평은지방 지역의 분양률 저조 사업장에서 장기간 분양실적이 개선되지 못하면서 매출채권 회수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승하고 있다지방 지역의 부동산 경기 침체로 지방에 위치한 미착공 및 분양률 저조 사업장에서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 현실화 사례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https://v.daum.net/v/20250411133509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