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나가던 기업들, 빚더미에 구조조정…‘에듀테크 붐’ 저무나
본문
김경은2025. 5. 16. 05:35
[위기의 K에듀테크]②교육업계 적자·구조조정·사업철수 잇따라
AIDT 도입 부진 여파에 스마트 학습도 휘청
전 세계 주목받던 K에듀테크 찬밥 신세
신규 투자 언감생심…해외와 기술 격차 우려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K에듀테크’가 찬밥 신세로 전락했다. 정부가 밀던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AIDT) 사업 뿐만 아니라 스마트 학습지 등 에듀테크 전반이 시장의 외면을 받아서다.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고 있지만 공교육 시장의 진입장벽이 높아 에듀테크 생태계 조성이 어렵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국내 기업들이 웅크리는 사이 해외기업들과 격차가 점차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스마트 학습지 사업 적자…줄줄이 구조조정
15일 업계에 따르면 에듀테크 기업들이 최근 잇따라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천재교과서를 비롯해 비상교육(100220), 아이스크림에듀(289010), 웅진씽크빅(095720) 등 에듀테크에 과감한 투자를 했던 회사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정부의 AIDT 정책 변화로 손실이 늘어 인력 효율화가 불가피하다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문제는 단순히 AIDT 사업뿐 아니라 에듀테크 사업 전체가 흔들리고 있다는 점이다. 천재교과서의 ‘밀크T’, 아이스크림에듀의 ‘아이스크림 홈런’ 등 잘 나가던 스마트 학습지 사업도 실적이 저조하다.
아이스크림 홈런이 대부분의 매출인 아이스크림에듀는 지난해 1076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대비 8.5% 감소했다. 영업손실도 19억원이다. 천재교과서 밀크T 사업부(BU)는 지난해 당기순손실이 204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3년간(2022~2024년) 해당 사업부의 당기순손실은 461억원에 달한다.
비상교육의 스마트 학습 브랜드인 ‘온리원’ 사업부도 최근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온리원을 포함한 러닝사업부문이 지난해 영업손실 54억원을 내는 등 실적 부진을 면치 못한 영향이다. 지난해 회사 전체 매출은 소폭 늘었으나 2022년 780억원, 2023년 785억원, 2024년 788억원으로 3년 연속 제자리걸음이다.
웅진씽크빅의 교육문화사업본부 스마트학습 부문 매출도 2022년 4183억원, 2023년 3941억원에 이어 지난해 3690억원으로 지속 감소세다. 미래교육사업본부의 스마트 독서·학습 부문 매출 역시 같은 기간 2336억원, 2215억원, 2101억원 등으로 줄었다.
엔데믹에 수요 감소…에듀테크 불신론까지
업계 전반의 실적이 부진한 건 에듀테크 시장의 위기와 맞닿아 있다.
에듀테크는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부터 온라인 학습 수요가 늘어나며 성장 가도를 달렸다. 국내 기업들도 디지털 전환에 발 빠르게 대응하면서 K에듀테크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엔데믹과 함께 학원 등 오프라인 대면 수업이 살아나면서 주춤한 상황이다.
실제 교육부와 통계청의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인터넷·통신 사교육 참여율은 2020년 7%에서 2021년 11.6%, 2022년 13.0%, 2023년 13.4%로 증가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이 수치가 12.7%로 떨어지며 ‘에듀테크 붐’이 한풀 꺾인 모습이다.
정부의 에듀테크 육성 정책 실패와도 무관치 않다.
윤석열 정부에서 교육부는 국가 차원의 에듀테크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에듀테크 진흥법’을 마련한다고 발표했다. 에듀테크를 학교 수업에 적극 도입하고 K에듀테크를 수출하는 등 관련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게 골자다. 하지만 에듀테크 산업 육성의 일환으로 추진하던 AIDT마저 제동이 걸리면서 ‘윤석열표 교육 정책’은 동력을 잃어버린 상태다.
이지은 한양사이버대 교수는 “최근 학부모들이 스마트 학습지를 끊고 오프라인 학원으로 돌리는 경향이 늘고 있다”면서 “엔데믹 여파도 있지만 인공지능(AI) 기반 학습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커진 영향이 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특히 AIDT 도입 타당성을 둘러싸고 갑론을박이 펼쳐지면서 에듀테크에 대한 학부모들의 의심이 커졌다”고 덧붙였다.
AIDT 논란은 현재 진행형이다. 여전히 도입 반대 여론이 거센 데다 관련 규제 수준은 더욱 강화돼 개발사들의 부담이 증가한 탓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 14일 교?